본문 바로가기

kt/kt소식

가장 많이 신고된 스팸 유형은? 후후(WhoWho)로 알아보는 2017년 스팸 통계

뚜뚜뚜..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 올 때, 여러분께서는 어떻게 하시나요? 보이스피싱 피해가 늘어나면서 070으로 시작하는 인터넷 전화나 휴대전화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는 받지 않는 사람이 많아졌는데요. 이를 예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많은 수단이 생겨나기도 했죠. 2017년 한해 동안 스팸 차단 앱 후후(WhoWho)’에 신고된 스팸 신고 통계를 통해 알아보는 스팸 유형분석! 과연 어떤 종류의 스팸이 2017년의 우리를 귀찮게 했을지함께 알아볼까요? (❦‿❦)

 

 

2017년 최다 신고된 스팸 유형은?

 

 

2017년 한해 동안 후후를 통해 등록된 스팸 신고건수는 약 1,232만 건으로 약 1,222만 건이던 2016년에 비해 소폭 증가해 신고 건수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여전히 많은 스팸이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는 거겠죠?

 

작년과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타난 부분은 스팸 신고 유형에서였는데요. 2016년도에 1위였던 대출권유유형을 제치고 2017년에는 불법게임 및 도박유형이 최악의 스팸 1를 차지했니다. 전체 스팸 신고 건수의 65%를 차지한 Top3 유형엔 어떤 게 있었을까요?

 

 

1. <불법게임 및 도박> 유형 - 347 8,758 

│출처 : 조선일보

 

가입하면 보너스 점수나 금액을 제공한다는 문자로 시작하는 <불법게임 및 도박> 유형이 무려 약 327만건의 신고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실제 경기에 따라 배당을 지급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이트지만, 실제로는 불법 도박 사이트의 가능성이 높아 이로 인한 사기 피해도 늘고 있다고 합니다.( •᷄•᷅ ) <불법게임 및 도박> 유형의 스팸 문자를 받았을 땐, 눈앞의 숫자에 혹하지 않고 후후 스팸 신고불법스팸대응센터에 신고해 주셔야 대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주세요!

 

 

이 유형의 스팸은 12월에만 약 94건이 신고되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는데요. 그만큼 연말 연시를 겨냥해 불법 도박이 기승을 부렸다는 걸 짐작할 수 있습니다. 월급, 성과급 등 목돈이 쌓이는 연말과 뭐든 설레는 연초를 겨냥한 것으로 분석되니, 소중한 내 돈을 지키기 위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겠죠?

 

 

2. <대출권유> 유형 - 297 1615 

│출처 : 파이낸셜 신문

 

김미영 과장님이라는 최고의 유명인을 배출해낸 <대출권유> 유형 스팸! 김미영 과장님의 활동이 활발했던 작년에 비해 올해는 약 297만 건의 신고 건수가 집계되었는데요. 은행과 금융회사에서 고객님께 먼저전화 또는 문자를 드려 대출을 권유하는 행위는 불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자나 전화의 경우에는 대출 중개 또는 사기의 위험성이 높으니 굉장히 조심하셔야 해요! (̀•́) 처음에는 저금리 유도로 환심을 산 다음, 고금리 대출 유도 및 추가대출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무응답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텔레마케팅> 유형 - 154 4,273 

 

혹시나 기다리던 합격 전화가 아닐까 하고 받았지만힘 빠지게 만드는 고객님을 위해 저렴한 상품을 준비했어요^^~”라는 소리이미 받은 전화 끊기도 미안해서 듣고 있었던 적 많으시죠? 제품 판매를 위해 걸려오는 <텔레마케팅> 유형이 신고건 수 3위를 차지했습니다~

 

일반 전화처럼 걸려와 무작정 안받을 수도 없는 것이 현실. 또한 해당 전화 수신 거부를 위해 어떠한 번호를 누르라고 하는 안내를 가끔 할 때가 있는데, 이 때 버튼을 누르면 소비자의 번호가 현재 작동중인 것을 인식하여 더욱 많은 스팸 전화가 걸려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잘못된 전화를 받지 않게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죠?

 

 

2018년에도 스팸 차단 앱 <후후(WhoWho)>로 마음 편하게 전화 받자!

 

 

2017년 후후 스팸 신고 통계에 따르면 스팸 중 약 34%가 휴대폰 번호며, 이는 작년보다 11%가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스팸임을 알려주는 무언가가 있다면 스팸 전화나 메시지를 미리 알고 예방할 수 있겠죠? 스팸 차단 앱 후후(WhoWho)’는 해당 번호에 스팸 신고된 건 수를 바탕으로 대출권유, 보이스피싱 등의 스팸 번호를 알려주는 만능 전화번호부라고 할 수 있는데요! ‘후후(WhoWho)’에는 어떤 기능이 있는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ᴗˬᴗ)

 

│출처 : 후후앤컴퍼니 공식 블로그

 

후후의 대표적인 기능으로 실시간 발신자 정보 표시를 꼽을 수 있는데요. 후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전화가 걸려온 동시에 알림창에서 발신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팸 신고 건 수가 많을수록 더욱 믿을만한 스팸 정보가 될 수 있으니, 부재중 알림이 남아있을 때 스팸 신고까지 해주는 센스! 등록되어 있지 않은 스팸전화일 때는 해당 번호를 신고하고, 공유 스팸 정보로 등록할 수 있으니 차곡차곡 새어나가는 구멍 없이 스팸 번호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후후앤컴퍼니 공식 블로그

 

스팸과 함께 전송되는 URL의 경우에도 앱 설정에서 간단하게 스미싱 정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후후 어플리케이션에서 스미싱 설정 ON으로 바꿔주면 문자 메시지에서 ‘URL 스미싱 탐지 버튼이 활성화되는데요! URL을 눌러보기 전, 이 버튼을 클릭하면 URL에 스미싱 위험이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후후는 통신사 무료 서비스로, ‘후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후후 부가서비스 가입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분만 투자하면 내 돈과 시간을 스팸 피해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는 거~ ‘후후(WhoWho)’와 함께 2018년도 안전한 한 해 되세요~~~٩()۶

 

<후후(WhoWho)> 서비스 가입하러 가기

 

 

보이스피싱이나 스팸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지만 그에 맞춰 수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특히 이러한 위협에 노출되기 쉬운 아이들이나 노인분들의 핸드폰에 후후, 필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앞으로도 고객 여러분들의 안전과 스마트한 생활을 위해 KT가 힘쓰겠습니다! 앞으로도 지켜 봐주세요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