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스마트에너지

전기차, 서울-부산 왕복에 겨우 11,000원? KT 기가 에너지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을 생각하는 건강한 에너지사용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올랐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큰 디젤차 대신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친환경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죠! 거기에 정부와 지자체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으로 차량출고가의 반값에 차를 구입할 수 있는 혜택도 주어지고 있어 국내 전기차시장의 전망이 밝다고 합니다. 오늘은 KT와 함께 국가핵심산업으로 떠오른 전기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차, 왜 좋을까?



불안정한 유가, 자동차매연과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도시 대기환경 문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자동차 시장! 여기에 새롭게 이슈로 떠오른 것이 바로 전기차인데요. 전기로 주행이 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없으며 운전 소음이 없다는 것이 전기차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속기가 없기 때문에 고장이 적고 엔진이 없어서 엔진오일을 갈아줄 필요도 없는 전기차는 유지비가 일반차량에 비해 상당히 저렴합니다. 특히 리터당 2,000원을 넘나드는 휘발유 값에 비해 연료비가 적은 것 역시 전기차의 장점입니다. 거기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에 가깝게 만드는 것 만으로도 전기차는 국가차원에서 장려하는 미래 교통 수단으로서의 매력을 갖고 있어요!



정말 서울-부산 왕복을 11,000원에 할 수 있나요?



차량 무게는 줄고, 넓은 내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는 연비 면에서도 일반 차량보다 훨씬 뛰어나요. 에너지 값이 저렴한 전기를 충전하는 것 만으로도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비는 더욱 줄어들게 되는데요! 올해 1월 환경부에서 전기차 급속충전요금 인하를 발표하면서 기존의 kWh 313.1원에서 173.8원으로 44%의 충전 요금이 절감됐습니다.



거기에 에코그린카드를 이용하면 추가할인 혜택으로 더욱 저렴한 주행이 가능한데요! 추가할인을 받으면 충전 요금은 kWh당 86,9원으로 줄어들어 11,000원으로도 충분히 서울-부산 왕복을 할 수 있어요. 전기차를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경기도에서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100% 감면을 시행 중이고 오는 9월부터는 전국의 고속도로 통행료가 50% 감면될 예정이라고 하니 더욱 늘어난 전기차 혜택으로 서울-부산 왕복시 더 저렴한 주행이 가능하겠죠?



그렇다면 충전은 어디에서



현재 전기차보급률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로 1년사이에 전기차시장이 7배나 급상승했습니다. 그에 발맞춰 환경부와 산업부에서 전국 3,000여기의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했는데요. 이전에는 환경부에서 급속충전기를, 산업부에서 완속충전기를 보급해왔지만 올해부터는 구분없이 설치를 지원함으로써 더욱 확대된 충전소 보급이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가까운 전기차 충전소는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http://www.ev.or.kr) 웹을 통해서 빠르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충전소가 너무 부족한 것 아닌가요?



국내에서도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가 늘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전기차시장의 성장속도에는 부족하다는 의견들도 있어요. 개인주택 보급률보다 아파트 보급률이 더 높은 우리나라의 주택 구조상 개인 전기차 충전기 보다 공공 인프라 구축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올해 안에 환경부가 추가로 530대의 충전기를 설치한다는 예산안을 발표했고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은 경우라도 주차 면을 100면 이상 보유하고 있다면(아파트, 빌딩, 사업장 등) 공용충전기 설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어 전기차 충전소의 보급률이 빠르게 올라갈 예정인데요. 이용률이 적은 KT 공중전화를 이용한 충전소나 유료주차장 충전소 등 가까운 곳에서 더 쉽게 충전할 수 있게 다양한 방안들이 생겨나고 있어요.



환경부, 산업부 그리고 일반기업체들과 KT가 함께 앞장서고 있는 그린에너지 전기차 산업! 올해부터 환경부와 KT가 협력하여 전국의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확장으로 더욱 편리한 전기차 사용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KT의 빅데이터와 기술력으로 쉽게 시작하는 친환경 그린에너지 활용! 미래를 생각하는 KT의 무궁무진한 발전으로 전기차의 매력은 더욱 커집니다.

 

KT의 기가에너지서비스가 궁금하다면?


KT가 환경부와 함께하는 전기차충전기 구축서비스를 신청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