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앞으로 다가온 민족의 설 명절! 대체 공휴일 덕분에 휴가를 2일만 쓰면 무려 총 9일을 쉴 수 있는 연휴인데요. 덕분에, 이번 설을 맞아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이 주변에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아직 여권을 만들어보지 못한 분들이나, 아이들 여권 만들기 준비를 걱정하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그래서 오늘은 설 명절 연휴에 해외여행을 떠나시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여권 발급 A to Z를 소개합니다.
여권 발급 준비물 알아보기
여권을 만들기 위해 발급 장소를 찾았다가, 여권 발급 준비물이 부족해 못 만드는 분들이 가끔 계신데요. 복잡한 서류는 아니지만, 준비물을 알고 계셨다가 체크해서 방문하시면 두 번 발걸음 하는 불상사는 피할 수 있습니다. 우선, 여권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권에 사용될 ‘여권용 증명사진 1장’과 신분확인용 주민등록증 (혹은 운전면허증) 그리고 여권 발급비용입니다. 이 세 가지만 챙겨가시면 되는데요. 이 중에서 증명사진은 촬영한지 6개월 이내의 것이어야 하고 반드시 ‘여권용 사진’이어야 하기 때문에 아무 사진을 가져가시면 안 된다는 점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권 발급 준비물
✔여권용 증명사진 1장
✔신분확인용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여권 발급비용
여권 만드는 장소는 어디지? 여권 발급 장소
준비물을 다 챙기셨다면 이제 여권을 신청하러 가야겠죠? 외국을 나갈 때 쓰는 용도이기 때문에 가끔 외교부나 각국 대사관에 문의하는 웃픈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요. 여권을 만들기 위해서는 가까운 구청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꼭 거주 지역에 있는 구청에 가실 필요는 없으며, 가까운 곳에 방문하시면 되는데요. 도착해서 민원센터에 문의하거나 혹은 화살표로 표시된 부서 안내를 통해 여권 만드는 곳을 찾아가시면 됩니다.
이외에 여권 발급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은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그중 서울 시내 여권 발급 기관의 연락처를 정리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지역 분들은 필히! 아래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지역에 따른 발급기관을 확인하시고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외교부 여권안내 홈페이지│ www.passport.go.kr
<서울 시내 여권 발급 기관, 출처: 외교부 홈페이지>
지역 | 전화번호 |
---|---|
강남구 | 02-3423-5401~6 |
강동구 | 02-3425-5360~9 |
강북구 | 02-901-6271~3 |
강서구 | 02-2600-6301~2 |
관악구 | 02-879-5330~1, 5338 |
광진구 | 02-450-1352~3 |
구로구 | 02-860-2681,2684 |
금천구 | 02-2627-2435~7 |
노원구 | 02-2116-3283 |
도봉구 | 02-2091-2431~4 |
동대문구 | 02-2127-4685, 90 |
동작구 | 02-820-9273~4, 9277~9 |
마포구 | 02-3153-8481~4 |
서대문구 | 02-330-1909,10 |
서초구 | 02-2155-6340, 49~50 |
성동구 | 02-2286-5243 |
성북구 | 02-2241-4501~9 |
송파구 | 02-2147-2330 |
양천구 | 02-2620-4350~9 |
영등포구 | 02-2670-3145~8 |
용산구 | 02-2199-6580~7 |
은평구 | 02-351-6431~5, 38~42 |
종로구 | 02-2148-1953~5 |
중구 | 02-3396-4793~4794 |
중랑구 | 02-2094-0603 |
여권 발급 기간과 비용 그리고 수령방법
여권발급을 위해서는 방문하신 구청의 여권 발급 접수 데스크 앞, 간이 서식을 작성하시고 제출하시면 됩니다. 쉽죠? 서식에는 준비물이었던 사진을 붙이고 내용을 빠짐없이 적으면 되는데요. 특히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법정대리인(보호자)의 동의서와 신청 대리인 신분증, 가족관계 증명서도 챙겨야 하는 점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여권 유효기간을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여권은 유효기간과 발급 면수에 따라서 발급비용이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셔서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유효기간 10년에 48면 여권’은 총 53,000원이며 ‘5년짜리 24면’의 경우엔 30,000원을 지불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신청한 여권은 일주일 정도 기다리면 받을 수 있게 되는데요. 접수증을 잘 갖고 계시다가 시일이 지난 이후 구청에 문의하시면 발급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발급이 됐다면 구청으로 방문 수령하시면 됩니다. 만약, 방문이 어렵다면 등기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는데요. 상대적으로 시일이 더 걸리기 때문에 가능한 직접 방문이 간편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여행 떠나기 전 필수템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여행자의 신분증, 여권이죠. 설 명절에 해외로 떠나시는 분들은 출국 전에 안전하게 여권을 발급받기 위해서 지금 바로 발급 신청하시는 것이 좋은데요. 방문하시기 전에 오늘 알려드린 여권 만드는 방법을 잘 숙지하셔서 아무쪼록 빠르게 여권을 발급받으시고 즐거운 설 명절 여행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In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트 코스 추천! 성수동 카페거리 속 예술 감성을 느끼자 (0) | 2016.01.28 |
---|---|
지니뮤직이 추천하는 2016년 콘서트, 제프 버넷 내한공연 외 (0) | 2016.01.27 |
여권 만들기, 여권 발급 A to Z (0) | 2016.01.27 |
각종 할인 혜택을 한 번에! 프레스티지 플러스 BC카드 (0) | 2016.01.26 |
프로농구 제대로 즐기기_#6. 농구 규칙 알아보기 <농구 고수편> (0) | 2016.01.22 |
신년 모임, 직급별 회식 노래 추천 (0) | 2016.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