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kt소식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광고 ARA 런칭!

유튜버라는 직업을 아시나요? 유튜버는 관심 분야에 대해서 영상을 제작하고, 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에 올려서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데요. 성공한 유튜버의 경우 억대연봉이 부럽지 않다고 하네요. 유튜버들의 수익은 바로 유튜브 광고에서 얻고 있는데요. 이들의 영상 재생 전/후 시청자들이 얼마나 클릭하고, 재생하는지 분석한 결과로 광고주와 영상제작자 모두 만족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결과, 최근 미국에서는 온라인 광고규모가 TV 광고를 넘었다고 하네요. kt 스카이라이프는 IPTV 셋톱박스를 기반으로 기존의 토막 광고의 초 단위 시청률을 분석하는 스마트 광고 ARA를 런칭합니다!



TV 시청률과 광고의 관계 


kbs2 서울 광고 요금 편성표


▲ 출처 kobaco, 2015/11/15 KBS2 서울 광고요금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방송국, 출연자, 시청자만 궁금해 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주들도 궁금해 합니다. 시청률은 해당 방송의 동시간대 인기를 비교하는 수단이 되면서 광고주들이 광고비를 내면서 자신들의 브랜드와 제품을 홍보하는데요. 국내 시청률은 표본조사를 통해 분석되었습니다. 2개 회사가 각각 4,300가구와 3,000가구를 선정하여 시청기록을 수집하여 발표합니다.


신속하게 시청률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표본조사이기 때문에 조사 결과가 다소 차이가 발생합니다. 시청률 수치가 높은 프로그램은 일치하지만, 시청률 수치가 작아질수록 순위가 달라지는데요. 시청률이 높은 시간과 낮은 시간의 광고요금이 최대 15배까지 차이나는 것을 생각해보면 더욱 정확한 시청률 측정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kt 스카이라이프는 IPTV 셋톱박스를 통해서 시청률을 분석하고, 코바코의 방송광고 유통 경쟁력을 융합한 스마트 광고 ARA 서비스를 런칭했습니다.



스마트 광고 ARA의 장점



스마트 광고 ARA는 Advanced Realtime Advertising의 약자로 실시간 채널에 KTH 빅데이터 솔루션 (DAISY) 기술을 융합한 세계 최초의 광고 판매 방식입니다. 최근 인터넷 광고가 TV 광고시장을 위협하고 있는데요. 영국과 호주, 캐나다 등의 국가에서는 이미 TV보다 인터넷의 광고시장이 더 큰 규모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인터넷 광고 시장의 CPC(Click per Cost), CPM(Click per Millenium), CPA(Click per Action)와 같이 광고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스마트광고 ARA는 90개의 유료 방송채널의 중간 광고에 적용될 예정인데요. 초단위 시청률을 분석하여 채널에서 방송되는 토막 광고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봤을 경우에만 광고비용을 정산합니다. 이와 같은 방식을 CPPV(Cost Per Perfect View)라고 합니다.



광고주와 방송사가 만족하는 ARA! 


kt스카이라이프는 이번에 개발한 시청률 조사방식을 전체 유료방송 플랫폼으로 확대하여, 통합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는 광고업계가 TV광고의 정확한 성과분석이 가능해지고, 광고주에게 TV 채널광고의 필요성을 설득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대세가 된 스마트미디어에 밀렸던 방송 광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전통적인 시청률을 조사해온 닐슨코리아와 TNmS와 맺은 MOU는 표본조사 데이터를 더해서 보다 객관적인 시청률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타깃 시청률 분석, 맞춤형 광고 개발과 같은 사업 고도화의 기틀을 닦았습니다.


kt스카이라이프와 코바코가 함께하는 ARA가 더욱 정교하게 분석하여 광고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세계 최초 서비스가 세계 표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