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GEPP

알파에서 오메가까지 한눈에! KT GEPP 홍보 책자 발간


‘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GEPP, 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을 통해 보건 취약 국가 대상으로 감염병 확산을 조기에 방지하는 활동에 앞장서고 있는 KT. 2016년부터 현재까지 여러 국가에서 감염병 확산 방지 활동을 진행해온 만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존재하는데요. 과거 3년간 도전부터 성공까지의 ‘KT GEPP 스토리’가 한 권의 책에 담겨 26일에 발간되었다고 합니다. 


<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GEPP)> 홍보 책자 발간

KT는 올해 6월, 대한감염학회와 ICT 활용을 통한 효과적인 감염병 관리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ICT 활용 감염병 관리 및 대응 역량 강화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는데요. 양사는 협력을 통해 GEPP 확산은 물론, 대국민 감염병 대응 중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 등을 추진하기로 협의했습니다. 



이번 <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GEPP)> 홍보 책자 발간은 감염병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협력 활동의 일환으로, GEPP에 대해 국내 정부 및 보건 관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것인데요. 총 60페이지 분량인 책자는 ▲감염병 방지를 위한 ICT의 역할 ▲GEPP 기술 설명 ▲GEPP 사업 현황 ▲GEPP 향후 계획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GEPP)> 홍보 책자 발간

잠깐! 책자를 받아보기까지 기다릴 수 없으시다고요? 책자를 읽기에 앞서, KT GEPP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KT의 ICT 기술력으로 감염병 확산 방지에 앞장서다

GEPP는 KT의 ICT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 감염병의 발견을 조기에 감지해 추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KT는 2016년부터 보건 인프라의 부족으로 감염병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개도국에서 ICT가 공공보건과 안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세계 경제 포럼 WEF(World Economic Forum) 등을 통해 GEPP를 설명하고 글로벌 확산에 노력해 왔습니다. 

 


실제로, KT는 민간기업으로서 타 국가 정부와의 협력에 어려움이 있어 대한감염학회 외에도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국회 등 관계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가 차원의 글로벌 적용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올해 4월에는 국회에서 열린 ‘ICT 활용 감염병 대응 방안 포럼’에 참여해 ICT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서 GEPP 시스템을 적용해온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전 세계 보건복지 향상을 위한 KT의 ICT 기술력>


지구촌 인류의 보건 안전과 건강에 기여하다

KT는 올해 8월 가나를 시작으로 9월 라오스에서 GEPP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12월에는 동아프리카의 허브국가인 케냐에서 현지 1위 통신사업자인 사파리콤과 협업해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개시했습니다. 

 


특히, GEPP 케냐는 서비스 가입률이 올라 가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요. 에볼라 재발로 국제 경보가 내려진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Congo)으로 출국한 케냐인들이 GEPP 서비스에 가입한 것이 확인되어 실질적인 감염병 확산 방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KT, ‘GEPP 케냐’로 동아프리카의 허브 케냐의 보건 안전을 책임지다!>


그 외에도 KT는 지난 10일 개최된 Global Digital Health Forum에서 ‘질병발생 완화 및 감시를 위한 민간기업 데이터의 활용과 투자’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는데요. 개도국의 보건 증진을 위한 빅데이터, AI 활용 모범 사례로 GEPP를 소개하며, 세계 보건기관 및 다자개발은행과의 협력기회를 마련했습니다. 



기술의 발전이 생활의 편리함을 넘어 인류의 당면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현재. KT는 감염병 확산 방지에 대한 중요성을 알릴 뿐만 아니라, 글로벌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