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GEPP

KT, ‘GEPP 케냐’로 동아프리카의 허브 케냐의 보건 안전을 책임지다!


KT는 지난 2015부터 지금까지 KT의 ICT 기술을 활용해 국내는 물론 보건 취약 국가를 대상으로 감염병을 예방하고 확산을 방지하는 플랫폼 ‘GEPP’를 선보여 왔습니다.


실제로 지난 8월에는 가나에, 9월에는 라오스에 ‘GEPP 가나, GEPP 라오스’ 서비스를 선보이며 가나와 라오스 국민들의 보건 안전에 큰 기여를 하였는데요.


이에 이어 KT가 케냐에도 ‘GEPP 케냐’ 서비스를 선보이며 케냐의 당면 과제이자 전 세계 공통 국가재난으로 꼽히는 감염병의 확산 방지에 힘쓴다고 합니다.


GEPP란?

‘감염병 확산 방지 프로젝트(GEPP)’란 해외 방문자의 모바일 위치 데이터, 글로벌 감염병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조기에 외부에서 자국으로 유입되는 감염병 확산을 막는 서비스입니다. 지난 2015년 국내 메르스 발병 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 빅데이터 선도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민관협력 우수사례로 평가받았으며, 2018년 메르스 재발 시 추가 확산 방지에 기여하였는데요. 

 


이후 KT는 2016년부터 ICT를 활용해 글로벌 보건 증진에 기여하고자 개도국을 중심으로 GEPP 확산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동남아시아 라오스, 아프리카 가나에서 앱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케냐에 선보인 ‘GEPP 케냐’의 경우, 한국과 동일하게 검역 서비스에 활용되어 감염병 확산 방지 효과성 제고가 기대되고 있답니다. 


 

KT, 케냐 보건부∙사파리콤과 손잡고 ‘GEPP 케냐’ 서비스 시작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관문 중 하나로, 유럽과 아시아, 중동을 잇는 아프리카의 허브 국가인 ‘케냐’! 하지만 그만큼 다양한 사람이 방문하는 국가이기에, 집단 발생의 우려가 큰 감염병에 대해 케냐 내 감염병 확산 방지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커져가고 있는데요.

 


KT는 이러한 케냐의 보건 안전을 위해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 위치한 빌라 로사 켐핀스키 호텔(Vila Rosa Kempinski)에서 ‘GEPP 케냐’ 출시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행사에는 라쉬드 아만(Dr. Rashid Aman) 케냐 보건부 부장관, 존 마사사비(John Masasabi) 케냐 보건부 총괄 실장, 스티브 체게(Stephen Chege) 사파리콤 부사장, 주 케냐한국대사관 최영한 대사, KT 지속가능경영담당 정명곤 상무가 자리를 빛내 주었답니다.



KT, 가나, 라오스 이은 세 번째 GEPP 구축 사례

GEPP 케냐는 우리나라 기업이 케냐의 국가 검역 서비스에 진출한 첫 사례로, 현지 정식 서비스 명칭은 ‘사피리 스마트(Safiri Smart)’로 ‘사피리’는 동아프리카 언어인 스와힐리어로 ‘여행을 의미하며, ‘사피리 스마트’는 ‘똑똑한 여행’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GEPP 케냐’ 서비스는 KT가 지난 2017년 케냐 1위 통신사 사파리콤과 ‘감염병 확산 방지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12월에 ‘GEPP 케냐’ 착공식 진행 후 약 1년간의 시스템 구축 후 이달 서비스를 개시한 것으로, 케냐 보건부와 케냐 1위 통신 사업자인 사파리콤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이뤄집니다. 


<GEPP 케냐 서비스>

 


예를 들어, 케냐 국민이 에볼라 발병국인 콩고 민주공화국(DRC)을 방문하면, 사파리콤을 통해 GEPP 서비스를 접속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 코드를 받게 되는데요. 고객이 접속코드(*265#)를 입력해 ‘GEPP 케냐’에 접속하면, 에볼라 감염병 정보∙감염 증상∙예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상이 발현될 경우, 국가검역본부로 연락해 조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번호를 받게 됨은 물론 해당 고객이 에볼라 발병국에 머물렀다는 정보를 국가검역본부에 알려 감염에 노출된 국민을 조기에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답니다.



이 외에도 KT는 ‘GEPP 케냐’를 통해 질병명, 발병 지역, 노출 현황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케냐 보건부에 검역용 빅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인데요. GEPP 케냐를 통해 수집된 모바일 빅데이터는 케냐 보건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관련 자료는 케냐의 감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행사 추진 영상>



이렇듯 KT는 사람을 위한 혁신적인 ICT 기술이 한국을 넘어 글로벌 확대를 통해 인류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끊임 없이 노력하고 있는데요. 이번 GEPP 케냐 서비스를 넘어 다른 보건 취약 국가에도 GEPP 서비스를 확대해 지구촌 인류의 보건 안전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