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션이나 SF 장르의 영화 속에서는 누군가 위험에 처했거나, 큰 사고가 발생하여도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장면들을 흔히 볼 수 있죠. 어느 순간 멋진 히어로가 나타나 구출해주기 때문인데요.
만약, 현실에서도 히어로와 같이 사고를 막아주고, 예방해 준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액션, SF 장르의 영화에 존재하는 히어로가 아니어도 모두가 안전한 세상으로 더 가까워질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현실 히어로, 시설 관리 AI 기가트윈(GiGAtwin)
지난 4일 KT는 현실 속 사물/장비 및 시설물 등을 디지털로 복제한 다음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셀프 러닝(Self learning) 해 이상 상태를 진단하고 문제를 예측하는 AI 기술 ‘기가트윈(GiGAtwin)’ 을 개발했다고 밝혔는데요.
앞으로는 기가트윈 기술을 활용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교량을 대상으로 다리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전에 미리 진단하여 시설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가트윈, 디지털 복제로 상태를 진단하고 변화를 예측하다
실제로, 이번에 기가트윈 기술을 적용한 교량은 KT의 GiGA Safe SOC 서비스를 활용하여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시설물로 구조 모델 정보와 2주 정도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량의 내하력(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예측해 냈습니다.
특히, 기가트윈 기반으로 측정한 디지털 내하력은 차량을 완전히 통제하고 내하력 측정이 되어야 하는 기존과 달리 차량 통제 없이 언제든 추정이 가능함은 물론, 온도/습도 등 환경 변화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2주 간의 내하력을 측정한 결과 그 수치는 허용 오차 이내의 편차였는데요.
시설 전문가들은 이 정도의 오차라면 상당히 신뢰할 만하다고 평가했으며, 추가적으로 디지털 내하력의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유지 보수가 필요한 시기를 알 수 있어 교량 손상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전에 미리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여기서, KT의 ‘GiGA Safe SOC’ 란, KT가 보유한 광케이블을 활용한 광센싱과 다양한 IoT 무선센서를 통해 인프라 시설물의 상태를 365일 24시간 상시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하는데요. 현재 서울·파주·하남·포항·구미시의 교량, 건물, 공동구 등 주요 도시 인프라 시설물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다양한 시설물에 대한 디지털 복제가 가능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또한, 공공/산업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른 빈번한 사고로 사회적 불안감이 커져가는 시점에 기가트윈 기술은 시설물 안전 관리의 공백을 없애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유지 보수 시기까지 사전 예측해 적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방지 및 시설 관리 비용 절감 효과까지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KT는 향후 빌딩, 공동구, 댐은 물론 상하수도, 열 수송관 등으로도 기가트윈 활용 영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렇듯 KT는 고객들이 생활 속에서 AI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제 사회에 적용해 나가고 있는데요. 시설물 안전과 교통 예측 분야 뿐만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자동차, 산업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
'IT > 재난안전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 ‘코로나19 스미싱’ KT가 고객보호를 강화합니다 (0) | 2020.02.14 |
---|---|
원격으로 열차 충돌 방지! KT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구축에 더 가까워집니다! (0) | 2019.11.19 |
KT, 소리로 기계 고장 예측하는 ‘기가사운드닥터’ 개발 (0) | 2019.10.23 |
가을철 미세먼지, 리뉴얼로 강화된 KT 에어맵코리아로 대응하세요! (0) | 2019.10.14 |
24시간 지켜주는 눈! 지능형 출동 보안 서비스 ‘기가아이즈 아이가드’ 출시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