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인공지능(AI) 기술이 국제전화 불법호 피해를 막는 데 활용됩니다. KT만의 독보적인 기술 경쟁력을 한 번 더 체감할 수 있는 오늘 소식을 함께 살펴볼까요?
KT, 포르투갈 WEDO에 자체 AI 솔루션 최초 수출
KT가 18일(이하 현지시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위두 테크놀로지스(WeDo Technologies, 이하 위두)와 ‘AI 기반 국제전화 불법호 탐지 솔루션’ 공급계약을 맺었습니다.
리스본에 위치한 위두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루이 패이바(Rui Paiva) CEO를 비롯한 위두 관계자들과 김영우 글로벌사업개발본부장을 비롯한 KT 관계자들이 참석해 뜻을 함께 했는데요.
KT가 이번에 공급하기로 한 AI 기반 국제전화 불법호 탐지 솔루션은 KT가 자체 개발한 AI 기술을 바탕으로 국제전화 불법호를 빠르게 탐지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입니다. KT가 AI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루이 패이바 위두 CEO 겸 모빌리움 CMSO는 “KT와 맺은 이번 계약은 AI 사기방지 기술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KT의 AI를 활용해 글로벌 통신기업의 사기피해를 줄여 나가다
‘국제전화 불법호’란?
‘국제전화 불법호’는 기업용 사설교환기(IP-PBX)를 해킹한 후 제3국의 부가서비스 사업자에게 다량의 국제전화를 발생시켜 통신사업자에게 국제통화, 부가서비스 요금 등 피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 같은 수법은 통신망 관련 해킹 가운데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주범이기도 한데요. 국제적으로는 ‘IRSF(International Revenue Share Fraud)’라고 통칭하고 있죠. 때문에 국제전화 불법호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KT는 국제전화 불법호 피해예방을 위해 AI 기반의 실시간 탐지 솔루션(AI-RFCS, AI-based Real-time Fraud-call Control System)을 자체 개발했습니다. 이를 지난해부터 국제통신망에 적용해 국제사기 및 해킹전화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은, AI를 활용해 국제전화 불법호 판별시간을 줄여 손실 최소화가 가능합니다. 또한 AI 엔진이 기존 방식으로는 발견이 어려웠던 패턴까지 스스로 분석해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오탐지 방지율을 확보했고, 정확도가 최대 50% 향상되었는데요. 특히, 국제특허출원 중인 텍스트 형태의 국제전화 과금 데이터를 이미지로 변환한 후 AI 딥러닝 엔진의 패턴 분석 기술로 KT만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었답니다.
위두와 협업해 글로벌 AI 기술시장에서의 더 큰 활약을 꿈꾸다
위두는 180개국 700여 통신사업자에게 로밍, 보안, 사기 및 리스크 관리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는 통신 사기해킹방지시스템(FMS, Fraud Management System) 전문기업입니다. 모회사인 미국 모빌리움(Mobileum)과 함께 글로벌 통신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익보호 및 사기방지 소프트웨어 시장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계약은 위두가 KT 국제통신망에 적용된 솔루션 성능을 확인 후 공급을 요청해 성사됐습니다. 계약에 앞서 양사는 KT 융합기술원에서 약 1년간 개발해 위두 시스템 적용과 상용 테스트까지 끝마친 상태인데요. 이 솔루션은 위두 소프트웨어를 통해 전 세계 주요 통신사업자들에게 판매될 예정입니다.
통신 사기해킹 관련 AI 모듈 추가 공급 검토
이에 따라 KT는 이번 계약이 KT의 AI 기술 우수성을 해외시장에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또한 KT는 로밍, 과금 사기, 유심복제 등 다양한 분야의 통신 사기해킹 관련 AI 모듈 추가 공급도 검토 중입니다.
상용화한 AI 기술로 글로벌 금융 사기판별∙방지 시장 진출
한편, KT는 이번에 상용화한 AI 기술로 그룹사인 비씨카드의 금융거래 데이터 및 후후의 통화정보 데이터를 학습시켜 글로벌 금융 사기판별∙방지(FDP, (Fraud Detection and Prevention)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금융 FDP 분야는 통신 FMS보다 훨씬 큰 시장으로, KT는 AI와 빅데이터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솔루션을 준비 중입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글로벌 AI 응용시장은 2017년 125억 달러(약 15조원) 규모에서 연평균 55% 성장해 2020년 478억 달러(약 56조원) 이상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KT가 이번 계약으로 진출한 글로벌 AI FDP 시장은 2017년 11억 달러 (약1조3,500억원)에서 2020년 42억8천만 달러(약 5조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소식은 KT가 보유한 AI 기술과 통신 분야의 노하우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은데요. 앞으로도 KT만의 차별화된 기술로 안전한 글로벌 AI 기술시장을 만들어가겠습니다!
'IT > 5G'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넥스알, 빅데이터 시장 선도를 위한 'The Next Revolution Day 2019'개최 (0) | 2019.10.08 |
---|---|
KT, AI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기술을 전세계에 알리다 (0) | 2019.09.24 |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초신뢰 사회를 열다! (0) | 2019.07.15 |
KT그룹, 국내 통신사 유일 싱가포르 ‘커뮤닉아시아 2019’ 참여 (0) | 2019.06.20 |
빅데이터는 계속 거대해지고 있다! 초대용량 빅데이터를 위한 차세대 클라우드 빅데이터 플랫폼 ‘콘스탄틴’ (0) | 201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