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5G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초신뢰 사회를 열다!


정부에서는 지난 2009년 해커에 의해 감염된 좀비 PC 11만 대가 정부기관을 비롯한 22개 인터넷 사이트를 공격해 전산망이 마비되었던  '7.7 DDoS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자는 의미에서 매년 7월을 정보보호의 달로 지정했습니다. 이는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고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한 것인데요. 정보보호의 달 7월을 맞아 각계에서는 보안 강화를 위한 다양한 행보를 보여주는 등 국민 모두의 정보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주요 ICT 기업과 금융 기업들이 ‘전 국민 모바일 전자증명 시대’ 개막을 목표로 손을 잡았다고 합니다. 5G시대를 초신뢰 사회로 만들어줄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된 것인데요. 앞으로 맞이할 새로운 세상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 공동 사업 협약


지난 12일 KT를 포함한 통신사, 금융사 등 7개사는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 공동 사업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KT 블록체인 비즈 센터장 서영일 상무를 비롯한 각 사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하여 모바일 전자증명 사업의 운영 방안을 함께 논의했는데요.


참여사가 추진하는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는 개인의 신원 정보와 데이터를 스스로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기존에 없던 방식으로 진일보한 서비스가 될 전망입니다. 어떠한 서비스인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온 국민이 편리하고 안전한 모바일 전자증명 사업


모바일 전자증명이란 개인이 기관이나 기업으로부터 받은 자신의 정보를 스마트폰의 보안 저장 영역에 저장해 놓고 있다가, 다양한 증명이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스스로 원하는 데이터를 골라서 제출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기존에 기관과 기업이 보관하고 있던 개인 정보와 이에 대한 통제권을 이용자 개인에게 돌려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모바일 전자증명을 활용한다면 각종 증명서 발부 및 제출 절차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대학을 졸업한 청년은 구직 과정에서 일일이 문서로 제출해야 했던 대학 졸업 증명서와 성적 증명서를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로 통해 간편하게 제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출 받은 기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신뢰도와 편리함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모바일 전자증명은 온∙오프라인에서 보다 간편하고 투명한 신원 증명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데이터 자기 주권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특히, 모바일 전자증명 사업은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인의 신원을 확인 및 증명하고 본인 스스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탈중앙 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s)기반 ‘자기 주권 신원 지갑(Self-Sovereign Identity)’ 서비스를 적용한 것이 핵심인데요.


이러한 서비스는 전국 주요 대학 제증명(졸업, 성적 증명 등) 발행∙유통 서비스, 코스콤의 스타트업 대상 비상장 주식 마켓 플랫폼에 우선 적용될 예정이며, 서비스의 조기 확산을 위해 KT 그룹을 비롯한 SK와 LG U+ 등 통신사들의 신입 ∙ 경력 채용 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KT는 BaaS, 지역화폐 등 축적된 플랫폼 서비스 역량과 ‘5G 기가스텔스’ 등으로 대표되는 자사 블록체인 기술에 DID를 접목하게 된답니다. 그렇다면 KT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플랫폼에 대해 살펴볼까요?

블록체인 IoT 보안 솔루션 기가스텔스

KT의 기가스텔스(GiGAstealth)란, 신원이 검증된 송신자에게만 IoT 단말의 IP 주소가 보이는 ‘Invisible IP’ 기술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인 GiGA Chain을 통해 통신에 관련된 모든 요소마다 고유 ID를 저장하는 방식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1회용 상호인증 접속 토큰을 발행하기 때문에 IP가 아닌 ID 기반의 통신 무결성을 보장한답니다.


클라우드 형태 블록체인 플랫폼 ‘GiGA Chain BaaS’

GiGA Chain BaaS’는 블록체인 서비스의 개발 환경과 통합 운영, 관제 기능을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이는 블록체인 전문 개발 인력이 없어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블록체인 노드(Node)를 구성하고, 블록체인의 핵심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인데요.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해 보안 취약점을 해결함은 물론 별도의 서버 구축도 불필요한 서비스로, 블록체인을 도입하려는 기업 입장에서는 개발을 위한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보다 더 효율적으로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됐답니다.


KT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세히 알아보기




KT는 그간 축적해온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모바일 전자증명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움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는데요. 국민의 안전과 보안을 책임지는 KT의 모습을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