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재난안전보안

KT,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혜화국사서 '2019년 통신재난 대응훈련' 실시


1분 1초가 긴박한 재난 상황에서 통신이 단절된다면 어떨까요?

 

아마 우리는 스마트폰은 물론, GPS, 의료기기 등 생존을 위해 필수로 수반되어야 하는 인프라의 마비로 큰 곤경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통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현재, 언제 발생할지 모를 통신재난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졌는데요. 


KT가 이와 같은 국가적 통신재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3일 KT 혜화국사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2019년 통신재난 대응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2019년 통신재난 대응훈련’ 실시


이번 '2019년 통신재난 대응훈련'은 국가적 통신재난 상황에 대비한 민관군 합동 대응훈련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KT 주관으로 통신 사업자와 국가정보원, 경찰청, 소방청, 육군, 한국전력 등이 합동으로 실시했는데요. 이날 훈련 현장에는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을 비롯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노웅래 위원장, KT 황창규 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통신재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 진행


이번 훈련은 폭발물 테러로 KT 혜화국사에 정전과 선로시설 피해가 발생해 인근 지역에 유무선 전화와 인터넷 통신 장애가 벌어진 상황을 가정하고, 서비스 긴급복구 및 통신 사업자 간 협업 체계 점검을 진행했습니다.


KT는 이날 훈련에서 테러로 인한 통신 장애가 발생한 즉시 과천 네트워크 관제센터에 위기 대책본부와 혜화국사에 현장 상황실을 개설했는데요. 동시에 과천에 구성된 과기정통부 중앙사고 수습본부 상황실과의 회상 연결을 통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보다 빠른 대처가 필요한 재난 상황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는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KT는 중앙사고수습본부의 긴급 복구 지시에 따라 이동통신, 인터넷, IPTV, 국제전화, 일반전화 서비스 별로 이원화된 망을 통해 서비스에 영향이 없도록 신속하게 트래픽 우회 소통을 실시하여 서비스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했는데요. 또한 피해를 입은 통신 시설 복구를 위해 전원, 선로, 전송, 일반전화, 인터넷, 이동통신 분야 별로 전용 복구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며 신속하게 시설 복구를 진행했답니다.


이 외에도, 통신서비스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신 사업자 간 와이파이(Wi-Fi) 서비스 개방로밍 서비스를 통한 긴급 통신 소통 방안 확보 훈련도 함께 진행되었는데요. 


로밍 서비스는 특정 통신사와 관련한 지역에서 재난이 발생할 시, 해당 통신사의 사용자가 타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올해 12월에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이동통신 3사가 합동하여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답니다.



KT는 이날 훈련장에 다양한 재난 대응 솔루션활용 방안을 소개하는 자리도 함께 마련했는데요. 


위성을 활용한 '해상인터넷 MVSAT', 초경량 · 초소형의 '백팩형 이동기지국', 현장 상황을 영상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포터블 기가 아이즈(Portable GiGAeyes)'와 재난 상황에 다양한 임무수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 솔루션 'KT 스카이십(Skyship)' 등을 전시하고 재난 상황에서의 긴급 통신과 복구 지원에 활용할 방안을 소개했습니다.



KT는 이번 훈련에 대해 민관군 합동으로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점검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훈련이었다고 전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통신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국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KT의 모습을 기대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