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 Life

나스미디어 조사 결과를 통해 알아본 ‘2019 인터넷 이용 행태’


여러분은 ‘인터넷이 없는 생활’을 상상해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날 인터넷은 생활의 필수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의 약 10명 중 9명이 인터넷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정보 수집, 동영상 시청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오늘은 KT그룹의 디지털 미디어렙 그룹사인 ‘나스미디어’가 분석한 ‘2019 인터넷 이용자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주요 서비스 이용 및 광고 수용 행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보 검색 채널로 유튜브 활용
 


나스미디어가 국내 PC와 모바일 동시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조사 참여자 중 60%가 ‘유튜브’에서 정보를 검색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튜브가 동영상 콘텐츠 소비 영역에서 검색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는데요. 특히 10대 인터넷 이용자의 10명 중 약 7명이 유튜브를 검색 채널로 이용하고 있으며, 향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유튜브가 메인 검색 채널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영상 서비스는 모바일로 시청
 


2019년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동영상 이용률은 95.3%로, 2017년(87.7%)부터 2018년(91.9%)에 이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모바일 위주로’ 혹은 ‘모바일에서만’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4.8%로, 전체의 절반 이상이 모바일 중심으로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모바일 동영상 하루 평균 시청 시간은 75분으로, 전체 모바일 인터넷 이용 시간인 166.5분의 45.4%로 집계되었는데요. 이로써, ‘모바일 동영상’이 모바일 인터넷 이용의 핵심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동영상 콘텐츠의 핵심 소비층 1020세대

모바일 동영상 이용 시간의 경우, 성별보다 ‘연령’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요. 연령별 하루 평균 모바일 동영상 시청 시간은 ▲10대, 120분 ▲20대, 100분 ▲30대 이상, 60분으로 나타나며, 10대와 20대가 동영상 콘텐츠의 핵심 소비층임을 보여줬습니다.



이렇게 나스미디어의 조사 결과에서 살펴봤듯이, 2019년은 유튜브를 중심으로 모바일 중심의 동영상 콘텐츠 이용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앞으로 유튜브가 검색 채널로서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영역 전반에 영향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연관이 있는 주요 사업자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