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28일과 29일 양일간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리는 '혁신성장 첨단기술전'에 참여했습니다. '혁신성장 첨단기술전'은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한국인공지능협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행정업무에 4차 산업 혁신기술의 적용 확대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하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는데요.
KT는 참가기업 10개사 중 대기업으로서 유일하게 참석해 미래 핵심사업 중 하나인 재난안전 플랫폼에 대한 기술을 선보여 더욱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에, 오늘은 KT가 선보인 재난안전 플랫폼이 국민의 안전을 어떻게 지켜내는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KT의 미래 핵심사업, 재난안전 플랫폼
KT의 재난안전 플랫폼은 재난사고 예방부터 사후 대응까지 재난의 단계별 · 유형별로 대응할 수 있도록 ICT 기술을 결합한 솔루션인데요. 특히, KT만의 안전적인 '통신 서비스'가 더해져 어떤 긴급한 재난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전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KT가 선보인 기술은 ▲스카이십 플랫폼(Skyship Platform) ▲AR 글라스(AR Glass) ▲에어맵 플랫폼(Air Map Platform) ▲세이프메이트(SafeMate) 였는데요. 어떠한 기술들인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스카이십 플랫폼(Skyship Platform)
'스카이십 플랫폼'은 무인 비행선 '스카이십(Skyship)', 스카이십을 원격관제∙조종하고 통신할 수 있는 '스카이십 C3 스테이션(Skyship Command,Control&Communication Station)', 세부 임무 수행을 위한 '스카이십 드론'과 '로봇'으로 구성되는데요. 시야가 제한된 곳의 조난자 수색, 통신 불가 지역의 이동기지국 역할, 구호품 전달 등 각각마다 구조 현장에서 수행하는 역할이 있어 재난 상황에서 신속한 구조 작업을 지원합니다.
AR 글라스(AR Glass)
'AR 글라스'는 AR(증강현실) 기술과 영상통화 기술이 적용된 특수 안경으로, 현장 상황을 원격으로 전달하며 실시간 의사소통도 가능한 장비입니다. 예를 들어 사고 현장에 출동한 구조대원이 AR 글라스를 착용하고 부상자의 상태를 의료진에게 중계하면, 원격진료를 통한 응급조치로 부상자 치료의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인데요. 무엇보다 AR 글라스가 시설관리에 활용될 경우 원격으로 문제를 조치함으로써 출동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에어맵 플랫폼(Air Map Platform)
'에어맵 플랫폼(Air Map Platform)'은 전국 1,500곳에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장비가 1분 단위로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IoT 플랫폼인데요.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의 발원지, 확산 예측까지 가능해 현재 부산시, 영덕군 등 지자체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있답니다.
세이프메이트(SafeMate)
'세이프메이트(SafeMate)'는 비명소리를 감지해 상황실 또는 112로 자동 연결하고 신속한 구조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인데요. 특히, 최첨단 IoT 비상벨, 지능형 이상 음원 감지장치, 관제 솔루션이 결합되어 일상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걸러 오 탐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중화장실, 지하주차장 등 범죄 취약구역에 설치해 강력범죄 예방 및 대응에 활용가능 하답니다.
이처럼 KT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통신망 및 플랫폼부터 조난자 수색과 공기질 측정, 범죄 감시와 같은 서비스 영역까지 국민의 나전을 위한 기술 개발에 앞정서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국민기업으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공공안전통신망 구축, 혁신성장 첨단기술 발전 뿐만 아니라 국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IT > 재난안전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UN환경계획과 손잡고 글로벌 환경 문제 해결 나선다! (0) | 2018.12.13 |
---|---|
KT 전주시와 함께 ICT 기술로 미세먼지 대응에 나선다! (0) | 2018.11.21 |
KT, 재난안전통신망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든다. (0) | 2018.06.26 |
미세먼지 문제의 새로운 솔루션, KT 에어맵 코리아 (0) | 2018.05.31 |
드론, 어디까지 활용가능할까? (0) | 201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