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에 연락하자~’보다 ‘카톡해!’가 인사로 쓰여지는 2018년! 스마트폰과 인터넷은 우리 삶에서 없어서는 안될 공기와도 같은 필수조건이 되었는데요. 하루 중 어느 시간대에 인터넷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내 또래가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KT 나스미디어는 국내 ‘인터넷/모바일 이용자’를 대상으로 주요 서비스 이용과 광고 수용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수치로 알아보는 ‘2018 대한민국 인터넷/SNS 수용 행태’! 나의 인터넷 사용량은 얼마인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죠~(๑ᴖ◡ᴖ๑)
디지털 미디어 플래닝 전문 미디어렙 <KT 나스미디어>
│출처 : Adfork 공식 홈페이지
KT그룹의 그룹사인 ‘KT 나스미디어’는 2000년 인터넷 광고 미디어렙으로 출발하여 현재는 모바일, 디지털 방송 등으로 분야를 확장해왔는데요. 폭 넓은 네트워크와 전문 미디어 플래닝 서비스를 기반으로 최적의 디지털 광고를 집행하는 1등 디지털 미디어렙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플래닝을 위해서는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겠죠? 이를 위해 나스미디어에서는 ‘인터넷’ 사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하는 보고서를 매년 발행하고 있습니다.
나스미디어가 매년 발표하는 NPR은 ‘인터넷/모바일 이용자’를 대상으로 매체 이용 행태, 주요 인터넷 서비스 이용 및 광고 수용 행태 등을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인터넷을 넘어 동영상, SNS, 게임 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이용자들의 특성을 알아볼 수 있는데요. 2017년 12월 19일부터 2018년 1월 3일까지의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2018 인터넷 이용자 조사>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2,000명의 모집단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과연 최신 인터넷 이용자 트렌드는 무엇일지 함께 알아볼까요?
일상 속에 자리잡은 모바일 인터넷! <주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전 연령대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특성으로는 주중/주말에 상관없이 PC 인터넷보다 모바일 인터넷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는 점인데요. 이를 통해 이제는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이 우리 일상 속에 완전히 자리잡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바일 인터넷은 주로 ‘커뮤니케이션(69.4%)’ 목적으로 이용한다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는데요. 이는 친구들의 소식을 확인하거나 대화할 수 있는 SNS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성장과 연결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겠죠?
문자 메시지는 가라! <모바일 메신저 이용률 96.9%>
특히, 모바일 메신저는 성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 96.9%의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는데요. 그 중에서도 카카오톡 이용률이 97.9%로 나타난걸 보아 우리나라에서 카카오톡을 안 쓰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도 말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혹시 요즘 급식을 먹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카톡해~’보다 ‘페톡해~’가 더 유명하다는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제 페이스북 메신저의 이용률은 10대는 66.8%, 20대는 43.9%로 집계되어 타 연령층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요. 10년뒤 모바일 메신저 이용률이 어떻게 바뀌어 있을 지가 궁금해지는 응답 결과네요~(❛ᴗ❛)
대세 콘텐츠는 동영상! <모바일 인터넷 중심 동영상 시청 행태 강화>
모바일 인터넷과 PC 인터넷 동영상 시청 행태 응답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 위주로 시청한다는 응답이 46.8%로 가장 높았고, 모바일 인터넷에서만 시청한다는 응답이 13.9%, PC와 모바일 인터넷 비슷한 수준으로 시청한다는 응답이 23.0%로 나타났는데요. 대다수의 사람들이 모바일 인터넷에서의 동영상 시청 경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남성에 비해선 여성과 1030 세대에서 모바일 인터넷을 중심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는데요. 요즘 10대들 사이에서는 유튜브가 과거 네이버 지식인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고도 하죠. 이를 대변하듯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동영상 플랫폼은 ‘유튜브(82.4%)’로 나타났습니다.
스마트폰과 모바일 인터넷 중심 동영상 시청, SNS 사용이 증가하면서 네트워크의 중요성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요. 4세대 이동통신을 넘어서, 5세대 이동통신인 5G가 등장하면서 더욱 쾌적하고 다양한 인터넷/SNS 플랫폼의 등장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T의 5G 상용화와 함께 변화할 내년 모바일 인터넷 트렌드는 어떨지 궁금해지는데요. 오늘 다 설명해드리지 못한 2018 NPR은 다음 시간에 더 소개해드릴게요!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윙크)
'kt > kt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하고 깨끗한 지하철 만들기! KT와 서울교통공사가 만드는 '그린 서브웨이' (0) | 2018.04.02 |
---|---|
이제 홈쇼핑도 입어보고 사자! KT, 국내 최초 IPTV 홈쇼핑 ‘VR 피팅 서비스’ 출시 (0) | 2018.03.27 |
KT스타오디션부터 지역쿼터제까지! KT, 2018 상반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 미리 보기 (0) | 2018.03.19 |
드론부터 공유 자전거까지! 중국 심천에서 만난 다양한 IT 기술 (0) | 2018.03.16 |
데이터 관리부터 선물까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새로운 방법 KT, 'Y데이터박스' 앱 출시 (0) | 2018.03.15 |